티스토리 뷰
[javascript 6강] 조건문(제어문)
이번글에서는 자바스크립트의 조건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이또한 다른 개발언와 기능 및 문법이 비슷합니다.
조건문은 말그대로 조건이 있고 조건에 맞으면 실행하고,
조건에 맞지 않으면 실행을 하지 않는것 입니다.
조건문에 들어가기전 자바스크립트 기본글에 대해 링크를 달아두겠습니다.
모르는 부분이 있다면 하단의 링크를 확인부탁드립니다.
이전 글 링크
2019/02/07 - [Programming/JavaScript, jQuery] - [javascript 1강] 자바스크립트 개요 및 개발환경설정
2019/02/09 - [Programming/JavaScript, jQuery] - [javascript 2강] 입출력 및 기본문법
2019/02/09 - [Programming/JavaScript, jQuery] - [javascript 3강] 변수와 자료형
2019/02/10 - [Programming/JavaScript, jQuery] - [javascript 4강] 연산자
2019/02/10 - [Programming/JavaScript, jQuery] - [javascript 5강] 배열
if, if ~else, if ~else if, if ~else if ~ else 문
조건문중에 가장많이 쓰이는 것이 바로 if 문입니다.
사용방법도 쉬우며.. 복수로도 사용이 쉽습니다.
또한 논리적로직에서도 실행되어야 할 부분만 실행되고 나머지는 실행되지않아 자원또한 아낄수 있습니다.
사용법 및 문법
1. if 문
if(조건식){ 조건이 true 인 경우 실행 }
2. if ~else 문
if(조건식1){ 조건식1이 true 인 경우 실행 } else { 위의 조건식1이 false 일 경우 실행 }
3. if ~else if 문 (else if 는 복수계로 사용가능)
if(조건식1){ 조건식1이 true 인 경우 실행} else if (조건식2) { 위의 조건식1이 false 이고 조건식2가 true 일때 실행 }
4. if ~else if ~ else 문 (else if 는 복수계로 사용가능)
if(조건식1){ 조건식1이 true 인 경우 실행} else if (조건식2) { 위의 조건식1이 false 이고 조건식2가 true 일때 실행 }
else { 조건식1이 false 이고 조건식2도 false 일때 실행 }
예제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| <%@ page language="java" contentType="text/html; charset=UTF-8" pageEncoding="UTF-8"%> 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HTML 4.01 Transitional//EN" "http://www.w3.org/TR/html4/loose.dtd"> <html> <head> 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UTF- 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 <script type="text/javascript"> var it1 = 10; var it2 = 5; if(it1 < it2){ console.log("it2 가 더크다!"); } else if(it1 == it2){ console.log("it1 과 it2 강다!"); } else { console.log("it1 가 더크다!"); } </script> </head> <body> </body> </html> | cs |
실행결과 및 설명
우선 결론부터 말하면 else 의 실행문이 실행되어 "it1 가 더크다!" 로 출력되었습니다.
변수 it1 = 10 , it2 = 5 입니다.
if 의 조건문은 it < it2 입니다. it1 이 더크기 때문에 false 로나오며.. else if 조건문으로 넘어가게 됩니다.
else if 조건문에서는 it1 == it2 입니다. 두 변수의 값이 다르므로 false 가 나오게 됩니다. 그래서 else 로 넘어가 console.log("it1 가 더크다!"); 가 실행되었습니다.
switch 문
조건문에는 switch 문 또한 존제합니다.
하지만 if 문에 비해 논리적로직에서 조건에 true 일때까지 돌아가기때문에..
잘못사용한다면 자원낭비를 할수있습니다.
사용법 및 문법
switch(비교값) {
case 조건1: 조건1이 true인 경우 실행문
break;
case 조건2: 조건2이 true인 경우 실행문
break;
case 조건3: 조건3이 true인 경우 실행문
break;
default:
모든 조건이 false 인 경우 실행문
break;
}
(case 는 복수계로 마음껏 사용해도 됨.)
예제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| <%@ page language="java" contentType="text/html; charset=UTF-8" pageEncoding="UTF-8"%> 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HTML 4.01 Transitional//EN" "http://www.w3.org/TR/html4/loose.dtd"> <html> <head> 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UTF-8"> 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 <script type="text/javascript"> var it1 = 10; switch(it1){ case 1 : console.log("it1 은 1이다!"); break; case 10 : console.log("it1 은 10이다!"); break; default : console.log("일치하는 숫자가 없음.."); break; } </script> </head> <body> </body> </html> | cs |
실행결과 및 설명
우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.. case 10 의 실행문이 실행되어 "it1 은 10이다!" 로 출력되었습니다.
it1 = 10 인 변수가 있습니다.
switch 에 it1 의 값을 넣어 기준을 잡아주었습니다.
그다음 case 1 로 넘어갑니다. case 1 을 풀어적으면.. it1 == 1 이라는 조건문이 나옵니다. 당연히 false 가 나옵니다. 그래서 다음 case 10 으로 넘어갑니다.
case 10 으로 넘어가.. case 10 을 풀어적으면 it1 == 10 이라는 조건문이 나옵니다. it1 은 10 이기 떄문에 true 의 값이 나오고.. console.log("it1 은 10이다!"); 출력되고.. break 구문에 걸려 조건문은 끝나게 됩니다
삼항연산자
삼항연산자또한 조건에 맞게 실행문을 실행할수 있습니다.
이또한 다른 조건문과 다르지않으며 조건과 실행문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.
간간히 많이 사용됩니다.
사용법 및 문법
(조건식) ? 조건식이 true인 경우 실행문:조건식이 false 인 경우 실행문
예제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| <%@ page language="java" contentType="text/html; charset=UTF-8" pageEncoding="UTF-8"%> 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HTML 4.01 Transitional//EN" "http://www.w3.org/TR/html4/loose.dtd"> <html> <head> 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UTF-8"> 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 <script type="text/javascript"> var it1 = 10; var it2 = 5; var it3 = (it1>it2) ? it1 : it2; console.log(it3); </script> </head> <body> </body> </html> | cs |
실행결과 및 설명
변수 it1 =10, it2=5 입니다.
그로 변수 it3 에는 삼항연산자를 사용하여 값을 할당해 주었습니다.
(it1>it2) ? it1 : it2; 를 보면.. 괄호안에 조건만 it1 > it2 는 참이기 때문에 true 의 값이 나오고..
true일때 실행될 실행문은 it1 입니다.
그래서 it3 = it1 이 적용됩니다.
그다음 console.log(it3); 실행결과 10이라고 출력되는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.
글을 마치며..
이번글을 통해 조건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다음글엣서는 제어문에서 반복문이라는 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모두 수고하세요.
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 없이 가능한
아래 하트♥공감 버튼을 꾹 눌러주세요!
'Programming > JavaScript, jQuer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ript 8강] 함수 (0) | 2019.02.12 |
---|---|
[javascript 7강] 반복문(제어문) (0) | 2019.02.11 |
[javascript 5강] 배열 (0) | 2019.02.10 |
[javascript 4강] 연산자 (0) | 2019.02.10 |
[javascript 3강] 변수와 자료형 (0) | 2019.02.09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티스토리초대장확인
- 초대장
- 정보처리기사
- 조던
- 티스토리
- 1000원 요금제
- 알뜰 저렴한 요금제
- 자바
- 무실적 체크카드
- 티스토리 초대장
- 알뜰통신사 저렴한 요금제
- jsp 태그
- 티스토리 가입
- java
- 제주도가볼만한곳
- 알뜰통신 저렴한 요금제
- 알뜰폰 저렴한 요금제
- 저렴한 요금제
- 자바스크립트
- JQuery
- 별정통신사 저렴한 요금제
- 제이쿼리
- 핸드폰 만원 미만 요금제
- 0원 요금제
- 핸드폰 저렴한 요금제
- 핸드폰 싼 요금제
- 별정통신 저렴한 요금제
- 티스토리 블로그
- Javascript
- 별정 저렴한 요금제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